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개정책제안 15 다산유적지,실학박물관을 흐르는 다산생태유적지부터 배다리를...

 

다산(열수) 정약용선생의 유적지가 조안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세미원은 양평에 속해 있고, 두물머리 또한 양평에 있는데 거기다 배다리까지 세미원 수로를 잇는 상징적 다리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올린 이미지

 

현재 아래와 같이 팔당대교를 가로지르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두물머리에서 만나게 되는데 남한강을 가로지르는 광활한 넓이의 저 강물에 팔당대교 길이의 배다리를 만드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다산생태공원이나 실학박물관 어부의 집쪽에서 건너편 두리봉 쪽을 잇는 배다리 건설...

 

사전에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한강 상수원 보호구역이라 배다리를 놓는다면 어떻게 공사기간을 잡아야 할지..

또한 비가 많이 오는 계절 안전은 어떻게 담보해야 할지...

그리고 제도적으로도 풀어야 할 문제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 배다리 하나만으로도 지금의 다산생태공원, 다산유적지, 실학박물관의 유입인구를 몇십배 이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관광 자원이 될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에는 특별한 무엇인가를 가지고 있어야 주목받는 지역이 될 수 있는데, 다산 정약용 선생의 유적지를 중심으로 배다리를 잇는다면 남양주의 으뜸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혹시 모르는 비가 많이 왔을 경우의 유량 조절은 최대한 팔당댐에서 담당하면 될 것이고, 설계와 안전 문제 또한 검증된 회사에게 용역을 주면 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남양주의 생태관광지도를 배다리로 완성시키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시멘트로 만들어지는 다리가 아니라 항상 물위에 떠 있는 다리...로 출렁이는 물결따라 항상 강물을 곁에 두고 감상할 수 있는 멋진 장소로의 전환을 기대해 봅니다.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1.jpg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2.jpg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3.jpg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4.jpg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5.jpg

 

남양주지역발전위원회_사진_20180417_6.jpg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현대렉시온 1414호

Tel) 010-4867-4247
E-mail) jangiksu@g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